집담회
제1회 집담회 (2007.10.18.)
몽골 지역 초원 생태계와 건조화 문제
– 이도원 (서울대학교 환경계획과)
제2회 집담회 (2007.11.20.)
발우(鉢盂)의 유전(流轉): 불발(佛鉢)숭배와 인도불교/불교미술
– 이주형 (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)
제3회 집담회 (2007.12.18.)
1688년 이스탄불의 상공인 반란과 상공인들의 사회적 연망(network)
– 이은정 (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)
제4회 집담회 (2008.03.27.)
열린국경-변경에서 본 18세기 청/조선 관계
– 김선민 (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)
제5회 집담회 (2008.04.23.)
세계화 시대 부드러운 이슬람자본의 힘―터키 무슬림 포괄정당 부상의 정치경제적 함의
– 장지향 (서울대학교 정치학과)
제6회 집담회 (2008.07.28.)
Manchu Studies and the ‘ New’ Qing History
– Mark C. Elliott (Harvard University)
제7회 집담회 (2008.10.30.)
Mongols and Kazakhs: Two Alternative Types of Inner Asian Nomadic Social Structure
– Christopher P. Atwood (University of Indiana)
제8회 집담회 (2008.11.19.)
절멸 위기의 알타이 언어들: 중앙유라시아의 튀르크어계 및 몽골어계 언어들의 상황
– 유원수ㆍ이용성 (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)
제9회 집담회 (2009.05.06.)
북카프카즈의 불안정 정세: 확대되는 체첸 분쟁
– 현승수 (한양대학교)
제10회 집담회 (2009.06.15.)
Continuity and Change : the Mongol Army in the Middle East as seen in the Mamluk-Mongol War
– Reuven Amitai (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)
제11회 집담회 (2009.10.08.)
Camel Town and Ming-Mongol Interaction in Late 16th-century: Rethinking the Nomadic-Sedentary Relations in Pre-Modern Central Eurasia
– Temur Temule (Nanjing University)
제12회 집담회 (2009.11.13.)
Living off Others: Resource Extraction and Shadow Empire Building
他者에 寄生하기: 재화의 착취와 ‘그림자 帝國’의 건설
– Thomas Barfield (Boston University)
제13회 집담회 (2010.02.17.)
자힐리야-이슬람 전환기’의 아랍시 연구
– 김능우 (서울대 인문학연구원)
이란 답사여행보고 : [集史]와 [와사프史] 寫本 募集을 중심으로
– 김호동 (서울대학교)
제14회 집담회 (2010.04.26.)
터키에서의 투르크학 연구동향
– Mustafa S. Kačalin (Marmara University)
제15회 집담회 (2010.11.03.)
터키의 對중앙아시아정책 변화와 학계 동향
– 오종진 (한국외대 터키-아제르바이잔어과)
제16회 집담회 (2010.12.08.)
현대 중동의 이해
– 서정민 (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)
제17회 집담회 (2011.01.27.)
인도-사라세닉 양식 건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? 식민치하 인도와 인도네시아
– 구하원 (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)
제18회 집담회 (2011.02.24.)
Mysticism between Heresy and Social Dissent: Deviant Sufis in the Ottoman Empire
– 베튈 자브다르 (미국 Rice 대학 박사과정)
북원-고려 관계와 동아시아의 정세변화
– Ts. 체렝도르지 (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)
제19회 집담회 (2011.08.17.)
중동 정치변동의 원인, 현황 및 전망
– 인남식 (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)
제20회 집담회 (2011.09.22.)
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체제와 문화 정책
– 이동규 (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)
제21회 집담회 (2011.11.11.)
Ex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Uygur Buddhist Iconography: Cultural Exchange and Regional Innovation
– 릴라 러셀-스미스 (베를린 박물관)
A Philological Study on Zurvanite Zoroastrianism: Collecting and Editing Persian MSS of ‘Ulama-ye Islam
– 타케시 아오키 (와세다 대학)
제22회 집담회 (2012.02.15.)
中國第一歷史檔案館 소장 『內閣蒙古堂檔』과 내륙아시아사 연구
– 김성수 (서울과학기술대학교)
제23회 집담회 (2012.02.23.)
駙馬國王과 國王丞相 -몽골제국(=大元)의 카안울루스와 고려왕조 國體 보존 문제 이해를 위한 모색과 제언
– 최윤정 (경북대학교)
제24회 집담회 (2012.03.30.)
북아시아 건국 신화의 계통적 이해
– 정재훈 (경상대학교)
제25회 집담회 (2012.06.01.)
A Distant Opportunity and Challenge for the Western Church -Building a Catholic Community in Yuan Dynasty China, 1271–1370
– Henrik Lampikoski (헬싱키 대학)
제26회 집담회 (2012.08.10.)
변화하는 터키 정세
– 이희철 (주터키대사관)
제27회 집담회 (2009.10.08.)
Alid Loyalty and Confessional Ambiguity During the Islamic Later Middle Period
– Judith Pfeiffer (옥스퍼드 대학)
제28회 집담회 (2012.12.04.)
Structure of Political Power and State Forming under the Mongol-Yuan Regime
– 姚大力 (복단 대학)
제29회 집담회 (2013.02.13.)
14세기 말 滿洲의 激變과 옷치긴 왕가
– 윤은숙 (강원대학교)
제30회 집담회 (2013.04.08.)
쿠빌라이 시기 친킴-아흐마드 갈등의 배경과 성격 – 친킴의 漢化 문제에 대한 재검토 –
– 고명수 (고려대학교)
제31회 집담회 (2014.11.26.)
A Brief History of the Ilkhanid and Their Impact on the Social Situation of Iran
– Mohammad BagherVosooghi (Teheran Univ. Iran)
제32회 집담회 (2015.04.22.)
실크로드의 현대사적 의미와 연구방법론
– 박필호 소장 (유네스코 중앙아시아 국제학술연구소 (IICAS))
제33회 집담회 (2015.05.14.)
The Two Great Nomad World Conquerors: Chinggis Khan and Tamerlane / Reflections on Nomad-Sedentary Relations
– Beatrice Manz (Tufts University)
제34회 집담회 (2015.11.27.)
몽골과 기타 민족들의 증류주: 새로운 음료 아르히 개관
Mongols and Others and Liquor Distillation: An Overview of Arkhi, a New Beverage
– Paul David Buell (막스 플랑크 연구소 전임 연구원)
제35회 집담회 (2016.05.27.)
동서교류사 연구와 세계지성사
History of Crosscultural Contacts and Global Intellectual History
– Dr. Hyunhee Park (City University of New York, John Jay College)
제36회 집담회 (2017.05.22.)
A Chinese System for an Ottoman State
– Kaveh Hemmat (Benedictine University in Lisle, Illinois, USA)
제37회 집담회 (2017.10.30.)
元代東北統治考述
Ruling North Eastern Area(Manchuria) in Yuan Period
– 薛磊 (南開大學, 天津 Xue lei Nankai Univ. Tianjin, China )
제38회 집담회 (2017.11.13.)
燒酒 이야기: 몽골 시기 한반도의 증류주 발전과 유라시아의 기원 및 세계 맥락
The Story of Soju: Distillation in Mongol Korea and its Eurasian Roots and Global Context
– Dr. Hyunhee Park (City University of New York, John Jay College)
제39회 집담회 (2017.12.04.)
Qing Politics and Controversies in Mongolian Buddhist Art
– Dr. Uranchimeg Tsultem (History of Art, UC Berkeley)
제40회 집담회 (2018.01.05.)
Rumeli in the Ottoman State, 14-19th Centuries: Formation, Boundaries, Importance, and Specifics
– Prof. Rossitsa Gradeva (American University in Bulgaria)
제43회 집담회 (2020.10.30.)
17-18세기 중앙아시아사 연구와 현지 아카이브
– 북경, 후호트, 올란바타르, 모스크바의 아카이브 및 도서관을 중심으로 –
– 심호성 (Ph.D. candidate, Central Eurasian Studies,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)
제44회 집담회 (2023.11.15.)
지혜를 실은 파도: 전근대 아프로-유라시아에서 바다를 통한 지식의 전파
Waves of Wisdom: The Role of Seas in Premodern Afro-Eurasian Knowledge Dissemination
– 박현희 (Professor, John Jay College and the GC, City University of New York)
제45회 집담회 (2023.11.29.)
60년대 이후 청나라 소재 영화의 국내외 흐름: 여걸민비에서 쇼브라더스까지
– 김현정 (서울대학교 언어학 박사)
제46회 집담회 (2024.12.26.)
『원전장』 「형부」를 통해 본 몽골 제국의 중국 지배
– 원전장 강독 스터디 그룹
제47회 집담회 (2025.01.06.)
달라이 라마와 보시(報施)
– 달라이 라마 전기 강독 스터디 그룹
제48회 집담회 (2025.02.04.)
1930년대~1950년대 중국의 신장(新疆) 인식과 정책
– 이선희 (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)